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테마, 아키타입, 메커니즘에 부합하지 않는 나머지 기타 카드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른 부스터팩에 비해 기타 카드군으로 분류할 카드가 많지 않기 때문에, 아포카리몬의 밸런스 문제만 제외한다면 BT15는 나름 균형잡힌 팩이 아니였을까 싶다
이번 기타 카드군은 새로운 효과와 기존 라인에 대한 일부 지원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어떤 카드들이 있을지 살펴보도록 하자
BT15-008 / LV.3 / 레드펭귄몬 / DP 2000
성장기 / 데이터종 / 조류형
등장 코스트 3 / 진화 코스트 적색 LV.2에서 0
【자신의 턴】【턴에 1회】 적색의 자신의 디지몬이 플레이어에 어택했을 때, 【1 드로우】.
진화원 효과 : -
토템형 성장기, 필드에 남아 다른 적색인 디지몬이 어택할 때 드로우를 보조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제거될 확률이 높은 성장기를 토템으로 세워놓고 드로우를 노리기에는 게임이 조금 느려질 수 있다
물론, 자신이 공격하여 드로우를 볼 수도 있지만 굳이? 싶다.
적색은 이미 좋은 드로우 보조 타마가 많고, 일반적으로 충분한 육성을 거친 후에 공격을 개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체적인 효과는 좋으나, 다른 덱에서 사용하기에는 애매한 그런 카드인 것 같다
쓴다고 한다면 웃코몬이 발매되고 어그로성 덱에 적색을 많이 넣은 형태의 덱에서 채용할 수 있을 듯 보인다.
BT15-009 / LV.4 / 메라몬 / DP 4000
성숙기 / 데이터종 / 화염형
등장 코스트 3 / 진화 코스트 적색 LV.3에서 2
【메인】【턴에 1회】 2 코스트를 지불하는 것으로 이 디지몬의 DP 이하인 상대의 디지몬 1체를 소멸 시킨다.
진화원 효과 : -
메인 효과로 2 코스트를 지불하여 상대 디지몬을 제거할 수 있다.
문제가 있다면 메라몬 자체의 DP가 너무 낮다는 점인데, 4000은 성장기 및 일부 성숙기 정도만 견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 대상이 굉장히 좁다.
물론 성장기 디지몬의 진화원 효과로 DP를 얻어 소멸 상한을 올릴 수도 있겠지만, 이렇게 번거롭게 상대 디지몬을 제거하기에는 이미 좋은 제거 수단들이 너무 많다.
BT15-010 / LV.4 / 레드꼬끼몬 / DP 5000
성숙기 / 데이터종 / 거조형
등장 코스트 4 / 진화 코스트 적색 LV.3에서 2
【자신의 턴】【턴에 1회】 자신의 디지몬이 플레이어에 어택했을 때, DP 3000 이하인 상대의 디지몬 1체를 소멸 시킨다.
진화원 효과 : -
자신의 디지몬이 어택했을 때, 상대의 성장기 라인을 제거할 수 있는 카드
메타 성장기를 자를 수 있다는 점에서 나쁜 효과는 아니지만, 진화원 효과도 없는 카드이기 때문에 메타 성장기를 자르겠다고 진화탑에 이 디지몬을 끼워넣는 것은 조금 비효율적이다
이미 상대의 DP 3000 언저리의 디지몬을 자르는 수단은 널리고 널렸다
BT15-012 / LV.4 / 샤우트몬X2 / DP 5000
성숙기 / 데이터종 / 강화형
등장 코스트 5 / 진화 코스트 적색 LV.3에서 3 또는 녹색 LV.3에서 3
【룰】 명칭:「샤우트몬」/「바리스타몬」으로도 취급한다.
【머티리얼 세이브 2】
【자신의 턴 개시 시】 이 디지몬을 소멸 시키는 것으로 메모리 + 1.
【등장 시】 상대의 디지몬 1체를 레스트시킨다. 2장으로 디지크로스 했다면, 그 디지몬은 다음 상대의 액티브 페이즈에 액티브할 수 없다.
【디지크로스 - 1】 「샤우트몬」 x 「바리스타몬」
등장할 때, 패/배틀 에리어에서 이 카드의 아래에 둔다. 1장당 등장 코스트를 마이너스 한다.
진화원 효과 : -
BT15가 주로 디지몬 어드벤처 테마의 디지몬들로 구성된 것을 생각하면 조금 쌩뚱맞은 디지몬이 실렸다
샤우트몬 X2의 효과를 살펴보면 조금 수비적인 플레이를 지향하게 될 것 같은데, 턴을 종료하기 위한 등장과 등장 시 효과로 상대의 디지몬을 레스트 상태로 고정시키고, 다음 자신의 턴에 메모리를 보조받고 머티리얼 세이브로 디지크로스를 재활용한다
정도의 의도로 설계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속성에 크로스하트가 없기 때문에 강태성, 이해나, 최강찬 등의 크로스하트 테이머와 전혀 연계가 되지 않는 점이다.
아니 이걸 왜 빠뜨렸담;;
BT15-015 / LV.5 / 데드메라몬 / DP 7000
완전체 / 데이터종 / 화염형
등장 코스트 7 / 진화 코스트 적색 LV.4에서 2
【메인】【턴에 1회】 2 코스트를 지불하는 것으로 턴 종료 시까지 이 디지몬은 【S어택+1】 을 얻는다.
그 후, 이 디지몬으로 어택할 수 있다.
진화원 효과 : -
데드메라몬은 메라몬과 마찬가지로 메인 효과로 2 코스트를 지불하여 부가적인 효과를 얻는다.
데드메라몬의 경우 S어택 +1 을 얻은 후, 이 디지몬으로 어택할 수 있는데 7000이라는 DP는 그렇게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2 코스트로 S어택을 올리고, 진화하여 궁극체 라인에서 공격하는 전략으로 활용할만하겠다
그러나 진화원 효과도 없고, 메모리를 2 코스트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그리 효율적이지는 않아 보인다
BT15-016 / LV.5 / 브라키몬 / DP 7000
완전체 / 데이터종 / 수장룡형
등장 코스트 7 / 진화 코스트 적색 LV.4에서 4 또는 청색 LV.4에서 4
【등장 시】【진화 시】 메모리가 상대측에 4 이하라면, 상대의 턴 종료 시까지 DP 8000 이상인 상대의 디지몬 1체는 어택할 수 없다.
메모리가 상대측에 4 이상이라면 DP 6000 이하인 상대의 디지몬 1체를 소멸 시킨다.
진화원 효과 : 【소멸 시】 DP 7000 이하인 상대의 디지몬 1체를 패로 되돌린다.
브라키몬은 독특하게 적색, 청색의 2색 디지몬으로 등장했다.
효과 자체가 메모리가 상대 측에 몇 이상,이하임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등장이든 진화든 상대 턴으로 넘어가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듯 한데, 완전체를 배틀 에어리어에 꺼내놓고 턴을 마치는 게 사실 지금 환경에서는 그리 좋은 플레이는 아니다
진화원 효과로는 소멸 시 DP 7000 이하인 디지몬을 패로 되돌리는데, 필드를 장악하고 게임을 최대한 내쪽으로 당겨와야 하는 궁극체의 진화원 효과로 소멸 시 효과는 아쉬운 느낌이 있다
굳이 사용하자면, 등장 시 효과가 달려있는 청색 카드이기 때문에 점보가메몬가 함께 사용해 볼 수 있겠다는 점,
그리고 수장'룡'형이기 때문에 도르빅크몬과 함께 사용할 수 있겠다는 정도가 떠오른다
BT15-018 / LV.6 / 캐논드라몬 / DP 12000
궁극체 / 데이터종 / 사이보그형
등장 코스트 12 / 진화 코스트 적색 LV.5에서 4 또는 흑색 LV.5에서 4
【자신의 턴 종료 시】【턴에 1회】 메모리가 상대측에 4 이상이라면 가장 DP가 낮은 상대의 디지몬 1체를 소멸 시킨다.
【상대의 턴 종료 시】【턴에 1회】 메모리가 4 이하라면 가장 등장 코스트가 높은 상대의 디지몬 1체를 소멸 시킨다.
적색의 마지막 카드는 캐논드라몬이다.
서로의 턴 종료 시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대 디지몬을 확정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서로의 메모리를 참조하는 효과가 흥미롭다.
먼저 내 입장에서는 상대의 디지몬을 소멸시키기 위해서 메모리를 4 이상으로 크게 넘겨야 하고, 반대로 상대 입장에서도 내 디지몬을 지키기 위해서는 메모리를 4 이상으로 크게 넘겨야 할 것이다.
서로가 크게크게 메모리를 넘기게 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게임이 재미있게 흘러갈 것 같다.
물론 큰 메모리를 감수하고 제거기를 던지면 무용지물이 되겠지만, 이번 팩부터는 서로의 메모리를 참조한 효과가 생겼다는 점이 재미있다.
앞으로 어떤 관련 효과들이 생길지도 기대가 된다
BT15-019 / LV.3 / 크랩몬 / DP 2000
성장기 / 데이터종 / 감각류형
등장 코스트 3 / 진화 코스트 청색 LV.2에서 0
【등장 시】 상대의 디지몬 1체의 진화원을 아래에서 1장 파기한다. 그 후, 진화원을 가진 상대의 디지몬이 없다면, 【1 드로우】 .
진화원 효과 : -
청색 계열의 디지몬들은 주로 등장 시 효과와 진화원 파기 효과를 가지고 발매되었다
크랩몬은 등장 시 효과로 상대 진화원을 1장 파기하고, 진화원을 가진 상대의 디지몬이 없다면 드로우를 보는데, 개인적으로는 좋은 카드라고 생각된다.
일반적인 성장기 디지몬은 등장과 등장 시 효과를 보면서 스타트하거나, 진화탑에 넣기 좋은 진화원 효과를 중심으로 투입하게 되는데, 크랩몬의 경우 진화원 파기와, 조건이 맞는다면 드로우 보조까지 해주기 때문에 나쁘지 않다.
효과가 여러가지거나, DP가 유난히 높다면 등장 코스트가 4로 높게 책정될만도 한데, 크랩몬은 3 코스트로 일반적인 범위에 들어가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BT15-023 / LV.4 / 실리컨몬 / DP 5000
성숙기 / 데이터종 / 고대어형
등장 코스트 4 / 진화 코스트 청색 LV.3에서 2
【등장 시】 상대의 디지몬 1체의 진화원을 아래에서 2장 파기한다.
그 후, 진화원을 가진 상대의 디지몬이 없다면, 메모리 + 1.
진화원 효과 : -
크랩몬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등장 시 상대의 진화원을 파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크랩몬이 드로우를 보조했다면 실리컨몬은 메모리를 보조해주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일반적으로 성숙기 디지몬을 등장시키는 용도로 활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실리컨 몬의 경우 4 코스트 등장과 등장 시 효과로 메모리를 보조받는다면 3 코스트로 등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덱에서는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점보가메몬과 같은 덱에 투입하여 등장 시 효과를 지속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고, 그냥 4 코스트로 내려놓고 쥬드몬 ACE를 올리는 등의 활용도 가능할 것이다
BT15-028 / LV.5 / 다이버몬 / DP 7000
완전체 / 데이터종 / 수서수인형
등장 코스트 6 / 진화 코스트 청색 LV.4에서 3
【등장 시】 상대의 디지몬 1체의 진화원을 아래에서 3장 파기한다.
그 후, 진화원을 가진 상대의 디지몬이 없다면, 자신의 패에서 청색의 테이머 카드 1장을 코스트를 지불하지 않고 등장 시킬 수 있다.
진화원 효과 : -
다이버몬은 한동안 악명높았던 그 촉법소년이 떠오르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등장 시 효과로 상대 디지몬의 진화원을 아래에서 3장 파기한다.
그 후, 진화원을 가진 상대 디지몬이 없다면 패에서 청색 테이머 카드를 코스트 없이 꺼낼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상대의 진화탑을 망가뜨리고, 내 테이머를 전개하면서 메모리 이득을 취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특징에 수생수인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등장보다는 이지스드라몬의 효과로 인한 등장이 더욱 잘 어울릴 것 같은 카드이며, 점보가메몬을 주력으로 활용하는 덱에서도 역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BT15-030 / LV.6 / 푸쿠몬 / DP 10000
궁극체 / 바이러스종 / 돌연변이형
등장 코스트 10 / 진화 코스트 청색 LV.5에서 3
【블로커】
【등장 시】【소멸 시】 상대의 디지몬 전체의 진화원을 위에서 2장 파기한다. 그 후, 진화원을 가지지 않은 상대의 디지몬 1체를 덱의 아래에 되돌린다.
청색의 궁극체 디지몬으로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등장 시 진화원 파기 라인의 효과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궁극체라면 지금까지 진화원을 파기해온 것으로 게임을 굳히는 역할을 해야할텐데, 자기도 진화원을 파기하겠다고 하니 환장할 노릇이다
궁극체라 등장 코스트도 적지 않은데 등장 시 효과로 발동한다는 점도 아쉽고, 2번째로 소멸 시 효과로 발동한다는 점도 아쉽다
기껏 궁극체까지 올렸는데, 블록으로 소멸되면서 진화원을 2장 터는 것이 전부라니...
또한 돌연변이형이기 때문에 이지스드라몬과 궁합도 좋지 않다
BT15-033 / LV.3 / 테이파몬 / DP 2000
성장기 / 백신종 / 성수형
등장 코스트 3 / 진화 코스트 황색 LV.2에서 0
【방벽】 (이 디지몬이 배틀에서 소멸했을 때, 자신의 시큐리티를 위에서 1장 파기하는 것으로 소멸하지 않는다)
진화원 효과 : -
방벽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발매된 테이파몬
3레벨을 지키기 위해서 시큐리티를 파기할 필요까지 있나 싶어 조금은 의아한 카드다
진화원 효과도 없기 때문에 상대의 시큐리티에 빠르게 들이박으면서 개체수를 유지하려는 플랜이 아니라면, 사용하기 어려울 것이다
BT15-036 / LV.4 / 위자몬 / DP 5000
성숙기 / 데이터종 / 마인형
등장 코스트 5 / 진화 코스트 황색 LV.3에서 3 또는 자색 LV.3에서 3
【블로커】
【등장 시】【소멸 시】 자신의 시큐리티를 위나 아래에서 1장 파기하는 것으로 상대의 턴 종료 시까지 상대의 디지몬 1체를 DP - 6000.
진화원 효과 : -
위자몬은 등장 / 소멸 시 효과로 시큐리티를 파기하면서 상대 턴 종료시 까지 DP를 6000 낮춘다.
DP를 낮추는 효과는 상대 턴 종료시까지 유지되기 때문에 내 턴에 등장하고 상대 DP를 -6000, 상대 턴에 블록을 활용하여 소멸 시 효과로 DP -6000을 부여하면, 성숙기 디지몬으로 DP 12000 까지의 디지몬을 견제할 수 있다.
이렇게 살펴보았을 때 위자몬은 어떤 덱의 파츠라기보다는 독자적인 역할을 받은 카드로 볼 수 있다.
성숙기치고는 강력한 효과와 활용도를 가지고 있지만, 그만큼 리스크가 큰데, 이 효과를 모두 활용하기 위해서는 총 2장의 시큐리티를 파기해야하기 때문
리스크만 조금 완화되어 설계되었다면 좋은 카드, 또는 사기 카드로까지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BT15-039 / LV.5 / 보머몬 / DP 7000
완전체 / 바이러스종 / 돌연변이형
등장 코스트 7 / 진화 코스트 황색 LV.4에서 3
【진화】 명칭에 「감마몬」을 포함하는 LV.4 : 코스트 3
【등장 시】【진화 시】 상대의 턴 종료 시까지 상대의 디지몬 1체를 DP - 3000 하고, 「【소멸 시】 메모리 - 1.」의 효과를 부여한다.
【서로의 턴】 이 디지몬은 이 디지몬의 진화원에 있는 명칭에 「감마몬」을 포함하는 카드의 효과 전부를 얻는다.
진화원 효과 : 【서로의 턴】 이 디지몬은 이 디지몬의 진화원에 있는 명칭에 「감마몬」을 포함하는 카드의 효과 전부를 얻는다.
감마몬 지원 카드
완전체 라인답게 서로의 턴 이 디지몬에가 진화원의 감마몬 효과를 모두 부여하는 효과를 가지며, 진화원 효과 역시 동일하다
기존의 감마몬 완전체 라인(레굴루스몬 ACE 제외) 은 워프진화로 템포를 올릴 수 있는 카노바이스몬, 자신의 디지몬에게 소멸 시 효과를 부여하여 이득을 취하는 레굴루스몬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상대를 직접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 효과가 생겼다는 점에서 점수를 주고 싶다
그러나 DP 3000을 낮추는 것은 큰 의미가 없어보이고, 이렇게 제약을 건 상대 디지몬을 안정적으로 제거하면서 메모리까지 당겨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BT15-041 / LV.6 / 할매몬 / DP 10000
궁극체 / 데이터종 / 요정형
등장 코스트 10 / 진화 코스트 황색 LV.5에서 3 또는 녹색 LV.5에서 3
【등장 시】【소멸 시】 상대의 턴 종료 시까지 상대의 디지몬 1체를 DP - 6000.
【상대의 턴 종료 시】 이 디지몬을 소멸 시키는 것으로 자신의 패에서 「로제몬」/「할배몬」 1장을 코스트를 지불하지 않고 등장 시킬 수 있다. 그 후, 이 효과로 등장한 디지몬의 【진화 시】 효과를 발휘한다.
먼저 푸쿠몬에서 살펴보았지만, 궁극체는 게임을 굳히고 상대의 플레이를 틀어막고 자신의 플레이를 이어간다는 점에서, 궁극체에게 부여되는 등장 시, 소멸 시 효과는 사실 크게 의미가 없다.
할매몬의 경우 이 효과가 상대의 DP를 6000깎는 정도이기 때문에 좋은 효과라고 보기도 힘들며, 푸쿠몬의 블로커처럼 자신을 소멸시키기 위한 장치도 없다
다행히 상대의 턴 종료 시에 할매몬을 자체적으로 소멸시키고 로제몬 / 할배몬을 등장시키며, 진화 시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데, 문제는 현재까지 발매된 로제몬과 할배몬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 그리고 그나마 그 중에서도 할매몬으로 상대 DP를 낮춘 다음에 진화 시 효과를 써서 이득을 취하는 효과의 연계가 어울리는 로제몬 / 할배몬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 있겠다
BT15-060 / LV.4 / 오메카몬 / DP 5000
성숙기 / 데이터종 / 퍼펫형/X항체
등장 코스트 5 / 진화 코스트 흑색 LV.3에서 3
이 카드는 덱에서 오픈되있는 동안 이 카드의 명칭은 「오메가몬」으로도 취급한다.
【블로커】
【등장 시】 자신의 턴이라면 다른 자신의 디지몬 1체를 패의 명칭에 「그레이몬」/「가루몬」을 포함하는 흑색의 디지몬 카드에 지불하는 진화 코스트 - 2로 진화할 수 있다.
【디지크로스 - 1】 「아구몬」/「그레이몬」 x 「파피몬」/「가루몬」
등장할 때, 패/배틀 에리어에서 이 카드의 아래에 둔다. 1장당 등장 코스트를 마이너스 한다.
진화원 효과 : 【어택 시】【턴에 1회】 상대의 디지몬 1체를 【퇴화 1】 .
마지막으로는 오메가몬 오메카몬이다
BT13에서는 백색의 디지몬으로 등장했지만, 이번 팩에서는 흑색으로 등장했다
기본적으로 블로커를 가지고 있고, 5 코스트의 등장 코스트를 가지고 있으나, 아구몬 or 그레이몬에서 1체, 파피몬 or 가루몬에서 1체를 디지크로스하여 3 코스트로 등장할 수 있다.
등장했을 때 그레이몬 또는 가루몬을 포함하는 흑색 라인의 디지몬으로 진화 코스트 2 감소시켜 진화시킬 수 있는데, 이 효과를 활용하여 3 코스트로 등장하여 다른 디지몬으로 0~1 코스트로 진화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결국. 디지크로스를 온전히 하려면 아구몬과 가루몬을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점, 블랙인 그레이몬/가루몬으로 진화를 돕는다는 점에서 그레이몬/가루몬 어느쪽이든 유연하게 진화할 수 있게 되면서, EX4의 오메가몬 Alter-S 덱의 흐름이 한결 편해질 것으로 보이나, 설계가 명확한 만큼 다른 용도로는 활용이 어려워 보인다.
진화원 효과로는 어택 시 상대 디지몬을 1 퇴화하는 견제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재기동 블로커 밖에 없는 흑색 그레이몬, 흑색 가루몬 라인에게도 견제 효과가 추가될 것이다
'발매 전 카드 살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17] 더블 타이푼 미리보기 (0) | 2025.05.01 |
---|---|
[BT15] X항체 카드 미리보기 (0) | 2025.04.15 |
[BT15] 디지몬 어드벤쳐 빌런 미리보기 (0) | 2025.04.14 |
[BT15] 디지몬 시커즈 카드 미리보기 (0) | 2025.04.11 |
[BT15] 신나리 & 장한솔 살펴보기 (0) | 2025.03.29 |
[BT15] 한소라 & 매튜 살펴보기 (0) | 2025.03.27 |
[EX5] 메타 파괴자 살펴보기 (0) | 2025.03.14 |
[EX5] 조류, 야수 디지몬 살펴보기 (0) | 2025.03.13 |